본문 바로가기
728x90

무의식의 재발견3

징크스 - 심리학적 행동(조작적 조건화) 조작전 조건화란 유기체가 여러 환경에서 능동적으로 반응함으로써 이루어진 조건화를 말한다 유기체가 어떤 행동을 수행했을 때 그 행동을 반복할 가능성은 그 행동 뒤에 따르는 강화가 어떤 것인가에 따라 달려 있다. 우리의 생활습관에는 조작적 조건화로 학습된 것들이 많이 있는데 그 중 하나를 징크스라고 부른다. 징크스(jinsx)는 고대 그리스에서 마술에 사용하던 새의 이름(jugx)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사람의 힘이 전혀 미치지 못하는 마치 마술과 같은 힘으로 일어나는 불길한 일이나 운명적인 일을 의미한다. 국어대사전에는 [재수없는 일, 불길한 일],[으레 그렇게 되리라고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보자. 시험을 치기전엔 머리를 감지 않는다라던지, 똥차를 보면 하루종일 재수가 없다던지 등.. 2022. 1. 4.
불안장애(공황발작, 광장공포증,공황장애) 불안장애란 불안 수준이 상당히 높아 개인의 학업적, 직업적 기능이 손상될 정도로 심각한 심리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불안장애는 심리장애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생활하면서 느끼는 이유를 모르는 불안한 감정으로는 불안장애라 말하지 않으며 극도로 심각한 비정상적인 상태로 나타나는 경우를 이야기한다. 1. 공황발작 특정한 경험이나 학습된 결과의 두려움과는 달리 특정한 단서 없이 갑작스럽게 심장박동, 진전, 질식할 것 같은 감각을 동반한 두려움을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단서 없이 일어나는 발작은 뇌가 정상적인 신체기능상의 변화를 위험 신호로 잘못 인식하여 교감신경계가 신체의 자율신경계를 각성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인지기능은 위험에 대한 감각이 증대되고 부교감신경계의 기능을 차단시키면서 공황발작을 지.. 2022. 1. 3.
심리장애란 무엇이며 원인은 무엇인가? 심리장애란? 정서적 고통과 더불어 기능상의 손상을 야기는 하는 정신적 과정이자 행동 패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 더러운 물건을 만질때 다른 사람에 비해 자주 씻는다는 것은 개인적 행동에 대한 정상적인 적응적이나 오염에 대한 비합리적인 공포에 의해 하루에 손을 수십 차례를 씻느라 다른 일을 하지 못한다면 이것은 부정적인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이상 행동을 의미하며 이런 부정 행동은 특정 상황이나 기능에 적합하지 않는 행동임을 의미하여 개인에게 고통을 주는지, 자신 혹은 타인에게 위협이 되는지, 동일 집단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행동인지, 개인이 속한 문화 속에서도 이상하게 여겨지는지를 따져 봤을때 납득할 이유 없이 상당한 정서적 고통을 경험한다면 이는 심리장애라 판단할 수.. 2021. 12. 31.
728x90